티스토리 뷰
문제
석환이는 아기다. 아기 석환이는 자연수가 쓰여져있는 카드를 갖고 다양한 놀이를 하며 노는 것을 좋아한다. 오늘 아기 석환이는 무슨 놀이를 하고 있을까? 바로 카드 합체 놀이이다!
아기 석환이는 자연수가 쓰여진 카드를 n장 갖고 있다. 처음에 i번 카드엔 ai가 쓰여있다. 카드 합체 놀이는 이 카드들을 합체하며 노는 놀이이다. 카드 합체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 x번 카드와 y번 카드를 골라 그 두 장에 쓰여진 수를 더한 값을 계산한다. (x ≠ y)
- 계산한 값을 x번 카드와 y번 카드 두 장 모두에 덮어 쓴다.
이 카드 합체를 총 m번 하면 놀이가 끝난다. m번의 합체를 모두 끝낸 뒤, n장의 카드에 쓰여있는 수를 모두 더한 값이 이 놀이의 점수가 된다. 이 점수를 가장 작게 만드는 것이 놀이의 목표이다.
아기 석환이는 수학을 좋아하긴 하지만, 아직 아기이기 때문에 점수를 얼마나 작게 만들 수 있는지를 알 수는 없었다(어른 석환이는 당연히 쉽게 알 수 있다). 그래서 문제 해결 능력이 뛰어난 여러분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만들 수 있는 가장 작은 점수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입력
첫 번째 줄에 카드의 개수를 나타내는 수 n(2 ≤ n ≤ 1,000)과 카드 합체를 몇 번 하는지를 나타내는 수 m(0 ≤ m ≤ 15×n)이 주어진다.
두 번째 줄에 맨 처음 카드의 상태를 나타내는 n개의 자연수 a1, a2, …, an이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1 ≤ ai ≤ 1,000,000)
출력
첫 번째 줄에 만들 수 있는 가장 작은 점수를 출력한다.
Baekjoon
나는 석환이가 가지고 있는 모든 카드를 저장하기 위해 PriorityQueue 자료구조를 사용했다.
PriorityQueue는 FIFO 구조를 가지는 자료구조로,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자료구조이다. 나는 작은 값을 가진 순으로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하여 문제를 해결했다. M번의 카드 합체가 이루어짐으로 M번 동안 맨 앞에 카드 두 장을 꺼내 합하고, 저장하기를 반복하여 최종 합을 계산하면 된다.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입력값으로 n이 최대 1,000,000이고, m의 범위가 15×n가 들어올 수 있어 정수 자료형을 사용하면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PriorityQueue;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 입력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초기화
long answer = 0; // 최종 결과를 저장할 변수
long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카드의 수
long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카드 합체 횟수
// 카드를 저장할 자료구조
PriorityQueue<Long> queue = new PriorityQueue<>();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int i=0; i<N; i++) {
queue.add(Long.parseLong(st.nextToken()));
}
// 카드 합체 횟수 만큼 반복
while(M -- > 0 && !queue.isEmpty()) {
long sum = 0;
for(int i=0; i<2; i++) sum += queue.poll();
for(int i=0; i<2; i++) queue.add(sum);
}
// 합 계산
for(int i=0; i<N; i++) answer += queue.poll();
System.out.println(answer);
}
}
'ALGORITHM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EKJOON] 15591.MooTube(JAVA) (0) | 2022.12.22 |
---|---|
[BAEKJOON] 1753. 최단경로(JAVA) (0) | 2022.12.22 |
[BAEKJOON] 1743. 음식물 피하기(JAVA) (0) | 2022.10.12 |
[BAEKJOON] 2589. 보물섬(JAVA) (1) | 2022.10.11 |
[BAEKJOON] 14234. 인구이동(JAVA) (0) | 2022.10.11 |
- Total
- Today
- Yesterday